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판소리에 숨은 우리 소리의 비밀

2017년 06월 28일 오전 09:00
우리의 전통 대중 예술인 판소리에는 서민들의 애환과 삶의 희로애락이 담겨있다.

씨름판, 판놀음, 판굿과 같이 많은 사람이 모인 장소의 의미가 담겨 있는 '판'과 '소리'가 결합돼 만들어진 판소리.

판소리는 소리꾼이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춰 이야기를 노래로 들려주는 음악이다. 이때, 소리꾼은 흥을 돋우는 '너름새'를 섞어가며 인간의 여러 감정들을 '창'으로 표현한다. 여기에 이야기의 흐름을 독백으로 들려주는 '아니리'가 가미돼, 독특한 우리 예술이 만들어진다.

조선 영조 때 등장한 판소리는 조선 후기, 문화의 발달과 함께 부흥기를 맞는다. 이 당시에 판소리는 동편제와 서편제, 중고제 등으로 유파와 창법이 다양하게 나뉘었을 것이라 추측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의 탄압으로, 민족 정서를 대변하던 판소리는 크게 쇠락하게 된다. 그러나 쇠락의 길을 걷기는 했지만, 우리 민족의 한을 대변해주듯 구슬픈 음색의 판소리가 인기를 얻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임방울 명창의 '쑥대머리'다.

판소리 소리꾼들은 독특한 '성대'의 비밀을 가지고 있다.

서양의 음악가 그리고 현대의 가수들과는 다른 소리꾼들의 성대 비밀을 의학적으로 살펴본다.

동편제 소리의 맥을 잇는 동편제 태 자리 마을부터 판소리의 다섯 마당 중 가장 큰 인기를 얻은 '춘향가'의 배경 광한루까지.

판소리의 고장, 남원으로 떠나본다.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