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재미있는 역사이야기] 한글자판

2017년 10월 09일 오후 3:07
IT사회의 필수품 키보드.

스마트폰이 대중화 된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도구인데요.

오늘날의 키보드 자판은 각 나라의 언어에 맞게 여러 형태로 발전되어 왔지요.

특히 한글은 로마자와 전혀 다른 문자임에도 IT시대 최고의 문자로 인정받고 있는데요.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한글자판, 과연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19세기 말 처음 우리나라에 소개된 타자기, 귀한 물건이었기에 한때는 외국인들의 전유물이었는데요.

무려 30여년이 지난 뒤인 1914년.

드디어 최초의 한글타자기가 등장합니다 .

재미교포 이원익은 영문타자기를 개조해 한글타자기를 만들었는데요.

문장이 세로로 찍히는 형태였기에 실제로 사용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이 후 송기주, 김준성 등이 각기 다른방식의 한글타자기를 발명했지만 큰 주목을 끌지 못했는데요.

광복 이후 드디어 새로운 한글타자기가 세상에 등장합니다.

안과의사 공병우는 발명장려회에 직접 만든 타자기를 출품해 1등을 수상했는데요.

이 때 만들어진 것이 바로 세벌식 타자기.

속도가 빨랐던 공병우의 타자기는 한국전쟁 당시 군에서 주로 사용됐는데요.

1953년, 정전협정문이 만들어질 때도 바로 이 공병우의 세벌식 타자기가 사용됐습니다.

세벌식 자판은 오늘날에도 이용되고 있을 만큼 그 속도와 능률이 뛰어난데요.

하지만 외워야 할 자판이 많아 배우기는 쉽지 않았고 1982년 드디어 오늘날과 같은 두 벌식 자판이 발명되면서 지금과 같이 널리 보급되게 됩니다.

2014년, 국제전기통신연합은 휴대용 한글자판을 국제표준으로 승인했는데요.

이는 한글의 우수성을 이제 세계가 인정하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우리의 자랑스런 한글, 한글자판을 통해 우리글의 가치는 앞으로 더욱 빛나게 될 것입니다.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