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사이언스 취재파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 10년…폐로는 시작도 못했다

2021년 03월 11일 오후 4:15
■ 양훼영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다양한 분야의 과학 이슈를 과학 기자의 시각으로 집중, 분석하는 '사이언스 취재파일' 시간입니다. 스튜디오에 양훼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오늘은 어떤 소식 알아볼까요?

[기자]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올해로 발생한 지 10년을 맞았습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체르노빌과 함께 인류 최악의 원전 사고로 기록되면서 전 세계에 원전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뒤바꿔 놓았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앵커]
지진의 상처는 회복됐지만, 원전사고의 위협은 여전한 상황이잖아요. 우선 10년 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상황을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시작은 해저지진이었죠?

[기자]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에 일본 동북지방 인근 바다 밑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1900년 이후 전 세계 네 번째로 강했던 지진이었는데요. 해저지진은 곧바로 최대 40.5m의 쓰나미를 일으켰습니다. 이로 인해 1만6천 명가량이 사망했고, 이 중 2천500여 명은 아직 시신도 찾지 못했습니다.

쓰나미는 후쿠시마 해안에 있던 원자력발전소도 그대로 덮쳤는데요. 제1 원전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서 1, 2, 3호기의 원자로가 녹아내리는 노심 융용이 일어났고요. 수소폭발로 이어졌습니다. 엄청난 방사능이 누출되면서 후쿠시마 원전은 인류 최악의 원전 사고가 된 셈입니다.

[앵커]
다시 보니까 사고의 규모가 엄청났었단 생각이 드네요. 올해로 사고 발생 10년이니까 후쿠시마 원전이 최소한의 수습은 되지 않았을까 싶은데, 어떤가요?

[기자]
도쿄전력은 10년 사이에 어느 정도 수습을 했습니다. 지난 2014년 원자로가 유일하게 녹지 않은 4호기의 핵연료봉 1,535개를 모두 회수했고, 3호기의 수조 내 핵연료 566개는 지난해 반출을 완료했습니다. 하지만 최대 40년 안에 원전 폐로를 완료하겠다던 도쿄전력의 계획은 이미 어긋난 상황인데요. 수소폭발이 일어났던 1호기와 건물 내 방사선량 높은 2호기 안에 남아있는 사용 후 핵연료는 전혀 반출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사고 당시 녹았던 원자로 노심은 현재 고체 연료파편 상태로 남아있는데, 이게 880톤에 달합니다. 도쿄전력은 이 고체 연료파편을 2019년 하반기부터 채취해 제거할 계획이었지만, 2021년으로 한 번 연기했고,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다시 내년으로 연기한 상태입니다.

문제는 핵연료가 어떻게 손상됐는지, 어디에 있는지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후쿠시마 원전 내부에선 초강력 방사선이 아직도 방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사람이 이 환경에 1시간 정도 노출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수준이라 현장 작업도 당장 쉽게 이뤄지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앵커]
설명을 들어보니 원전 내부에 방사성 물질 제거는 거의 진척이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인데요. 그렇다면 원전 밖으로 퍼졌던 방사성 물질 제거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이 또한 대부분 오염된 채 남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에 따르면, 후쿠시마 사고 이후 지정된 특별제염지역의 85%는 여전히 제염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발표했는데요. 이와 관련된 전문가 설명 들어보시죠.

[숀 버니 / 그린피스 동아시아 원자력 수석전문가 : 대부분은 아직도 제염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삼림이 많아 이 지역을 모두 제염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사토 사토시 / 전 GE 원자력 엔지니어 : 도쿄만에서도 상당히 오염된 해저 토양이 검출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주변만의 문제가 아니고 상당히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방사성 물질이) 퍼져 있는 상황입니다.]

제염을 위해 긁어냈던 오염토양이나 원자로 냉각에 사용된 오염수에 대한 2차 처리 문제 또한 남아있습니다. 오염토의 경우, 일본 정부가 정한 중간 저장시설 부지 공간의 75%정도 이미 차 있고, 삼중수소가 제거되지 않은 오염수 역시 탱크 용량의 91%까지 채운 상태입니다.

[앵커]
그럼 이런 상황인데도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로 방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건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를 더는 미룰 수 없다고 발표했는데요. 당시 정확한 방류 시기는 못 박진 않았고, 그 시기가 올해까지 시기가 미뤄진 상태인데요. 방식은 해양방류가 유력합니다. 가토 관방장관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

[가토 가츠노부 / 일본 관방장관 (지난해 10월) :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에 대한 정책이나 시기를 결정한 사실은 없습니다. 하지만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를 미루지 않기 위해 알프스(ALPS) 처리 결정을 계속 미룰 수는 없는 게 사실입니다. :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충분히 검토한 뒤 적절한 시기에 정부 책임 아래 결론을 내려고 합니다.]

[기자]
여기서 말하는 알프스란 다 핵종 제거 장치로, 오염수 속 62종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뒤 바다로 흘려보내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도쿄전력의 자료를 보면, 알프스로 처리한 115만 톤의 오염수 중 기준치를 통과한 건 30%에 불과한데요. 나머지 70% 물에서는 코발트60, 스트론튬90과 같은 고위험 방사성 물질이 남아 있고요. 농도를 희석시킨 오염수를 방류한다고 해도 기술적으로 절대 제거하기 어려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남는 것도 문제입니다.

실제로 일본 국민의 절반 이상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게다가 현지 어업단체 등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의 우려가 이어졌는데요. 이에 스가 총리는 지난 1월 오염수 저장탱크 증설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해양 방류 시기가 늦춰질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일반 자연재해와 달리 원전 사고는 사고 처리에서 있어 쉽게 결과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 방사성물질이 체내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잠재적 위험이 계속 있는 만큼 철저한 모니터링이 국내에서도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우리나라 바로 옆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잖아요. 철저히 감시하면서 우리도 할 말은 꼭 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양훼영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