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등 전국의 동시다발 산불로 인해 국가유산 30건이 피해를 봤습니다.
산불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맞춰 국가유산의 보호 대책도 새롭게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북 북부 지역의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천년 고찰 고운사입니다.
계곡을 가로지르는 가운루와 조선 왕실의 건물인 연수전, 보물 2점이 모두 불에 탔습니다.
산불의 확산 속도가 워낙 빠르고 사찰 건물의 특성상 목조 건축물이어서 화마를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임상섭 / 산림청장 : 산불의 확산이 빨라졌던 것은 산불 발생 기간 동안 서풍 중심의 강하고 건조한 바람이 불었고,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7m를 기록하는 등 바람의 영향이 가장 컸습니다.]
국가유산 등을 보유하고 있는 사찰 대부분은 산에 있는 경우가 많아 불이 나면 소방차 출동이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중요 국가유산에는 소화전 등 기본 장비는 갖춰져 있습니다.
문제는 산불이 대형화된다는 점입니다.
경북 북부 산불처럼 동시다발적으로 불이 나고 확산 속도도 빠를 경우 현실적으로 이동 가능한 국가유산의 대피가 우선입니다.
결국, 소방인력마저 빠지고 나면 남은 목조 건물이나 석탑 등은 방염포로 보호해야 하는데, 한계가 분명합니다.
[조은경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연구기획과장 : 시중에 제품으로 유통되는 유리섬유계의 방염포를 주로 사용한 것인데요. 1,000℃ 이하에서는 비교적 장시간 기능을 할 수 있겠지만, 만약 1,000℃ 이상의 화염이 수십 분간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방염포가 보호할 수 있는 범위는 벗어난다고 생각을 합니다.]
특히 대형 목조 건축물의 경우 고소 작업차량 등을 이용해 방염포를 설치해야 하는데, 긴박한 상황에서 장비와 인력 운용이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방염포 설치에 따른 별도의 기준 마련은 물론 국가유산 안전관리원의 교육, 국가유산 소방전문가 양성 등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대형화되는 산불에 맞게 종합적인 대책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국가유산 보호 방안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영상편집:오훤슬기
YTN 박순표 (spark@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