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안덕근 산업장관 "미 관세 유감...협상 추진·지원책 마련"

2025년 04월 03일 오전 09:00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안 장관은 오늘(3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합동 미 관세 조치 대책회의'를 열고, 정부는 대미 협상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영향이 큰 업종에 대해선 긴급 지원대책을 조속히 마련키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자동차, 철강 25% 관세와 함께 대미 주력 수출 품목에 상당한 영향 미칠 거라며, 기존 범부처 비상 수출 대책에 이어 업종별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안 장관은 특히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포함해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 지속 추진하겠다면서 단기 승부가 아니라 지속적 협의와 조율이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일 미국 트럼프 2기의 상호관세 조치 발표와 관련, "글로벌 통상 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미측의 관세 조치 현실화에 유감"이라며 "정부는 미국 관세 조치가 우리 대미 수출과 전 세계 교역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엄중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주요 업계 및 관련 경제단체·연구기관들과 '민관 합동 미 관세 조치 대책 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오늘 오전 7시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 긴급 TF(태스크포스) 회의를 통해 상호관세 조치의 주요 영향과 내용을 면밀히 분석했다"며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미 협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는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3월 미측의 철강 관세에 대응해 '철강·알루미늄 통상 리스크 및 불공정 수입 대응 방안'을 마련한 데 이어, 자동차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 지원 대책' 마련에도 서두를 방침이다.

안 장관은 이와 관련, "오늘 발표된 미국의 관세 조치는 자동차·철강 등에 대한 25% 관세 조치와 함께 우리 대미수출 주요 품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안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관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통상본부장 방미를 포함해 미국 측과 긴밀한 협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은 '단기 승부'가 아닌 지속적인 협의와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라며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민관이 원팀으로 힘을 합쳐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하도록 협조해달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안 장관을 비롯해 박성택 1차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박종원 통상차관보 등 산업부 통상 라인 고위급과 대한상의,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업계 단체, 연구기관 등의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장관 및 통상본부장 등 고위급, 실무급 대미 협의를 적극적이고 입체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발효한 미국의 상호관세가 미국의 국가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한 것으로,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무역 적자국에 대해 추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한국에 대한 25% 관세는 10%의 기본관세와 15%의 상호관세를 합한 것이라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이번 관세 조치의 발효 시점은 10% 기본관세는 오는 5일, 국가별 상호관세는 오는 9일이다.

한국이 25%의 관세율을 부과받은 것을 비롯해 중국 34%, 일본 24%, EU 20%, 베트남 46%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존에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구리·의약품·반도체·목재, 에너지 및 미국 내 미생산 일부 광물 등에 대해서는 이번 관세 조치가 중복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