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학령인구 감소와 해외 인재 유출로 이공계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과학기술계와 국회가 논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절실하다며, 각 분야의 다각적인 협력을 주문했습니다.
권석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30년간 꾸준히 증가하며 우리 과학기술과 산업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온 이공계 인력.
하지만 학령인구 감소와 의대 쏠림 현상 등으로 지난 2021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현재 인력난에 직면했습니다.
이런 이공계 인재 부족 문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계와 국회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첫 주제발표에 나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선임연구위원은2000년대 들어 시행된 과학기술 인재정책의 한계를 지적했습니다.
과제 단위의 연구개발비 지원이 연구비 수주 경쟁으로 이어져 이공계 인재 이탈을 불렀다면서, 양적 인재 늘리기가 아닌 질적인 양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박 기 범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실제 우리 대학에서는 교수님들이 각 연구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과제를 운영할 수가 없고 여러 개를 따셔야 하고… 이런 구조에서는 사업의 효율성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가 없죠. 결국 양적 규모보다는 질적인 수준이 훨씬 중요한 시대다.]
[기자]
대학 측도 이공계 인재 이탈의 원인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부족을 꼽았습니다.
미비한 보상체계와 양질의 연구개발 일자리 부족이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 선택을 기피하게 만들었다면서, 정부에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위한 파격적인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김 영 오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 소위 과학고를 못 나오고 선행이 덜 된 학생들도 우리가 잘 키울 수 있는 일을 대학이 해야 되고요. 이공계로 들어오는 학생들을 잘 뽑을 수 있게, 그 선구안을 저희가 가질 수 있게 정부에서 여러 가지 파격적인 입시 정책이라도 (지원)해주시면….]
[기자]
이 자리에서는 또, 우수 인력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과학기술 전문 인재양성 센터를 만들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미래를 이끌 인재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정부와 단체 등 각 분야의 다각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이 태 식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 이제는 단편적인 대응이 아니라 정책, 교육, 산업 전반에 걸친 종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략이 필요한 때입니다. 이를 위해 국회, 정부, 산·학·연 등 각 분야의 긴밀한 협력과 실질적인 논의가 절실합니다.]
정부와 국회, 과학기술계 전문가들이 모인 이번 소통의 장이 이공계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YTN 사이언스 권석화입니다.
YTN 사이언스 권석화 (stoneflower@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