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극단적 선택을 한 환자의 뇌 조직을 분석해 우울증을 분자적 수준에서 발생 원인을 규명했습니다.
KAIST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이민주 법의관, 아주대학교의료원 김석휘 교수 공동 연구팀은 우울증 환자의 뇌 조직과 쥐 모델에서 해마의 '치아이랑' 부위에서 FGFR1(에프지에프알원)이라는 유전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치아이랑'은 해마 안에 정보가 처음으로 들어올 때 새로운 기억을 생성하는 부위로, 우울증에 걸린 쥐에 스트레스를 주자 이 유전자 수용체가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습니다.
반대로 이 유전자를 제거한 쥐는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고 우울 증상이 빠르게 나타났다며, FGFR1이 신경 조절과 스트레스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고령 우울증 환자의 사후 뇌 조직에서도 항우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며, 이는 노화로 인해 특정 단백질이 과도하게 늘어나 FGFR1 신호를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YTN 사이언스 권석화 (stoneflower@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