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궁금한S] 역사와 함께 해온 '독'의 세계

2021년 05월 21일 오후 4:21
[앵커]
과학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궁금한 S> 시간입니다.

독이라는 한자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작은 양으로 병을 고친다'라는 뜻이 있는데요.

그만큼 독과 약은 한 끗 차이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사람을 해하기도, 또 반대로 살리기도 하는 독의 세계를 지금 바로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이효종 / 과학 유튜버]
백설공주의 사과와 장희빈의 죽음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한 번 맞혀보시겠어요? 미인이라고요? 뭐 그것도 공통점이 될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정답은 "독"입니다! 백설공주는 독 사과를 먹고 죽을 뻔했고, 장희빈은 숙종의 사약을 받고 죽었는데요.

이처럼 독은 사람의 생명을 해칠 수 있는 화학물질인데, 이런 독의 종류도 매우 많다고 합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옛날의 왕과 황제는 늘 독살의 두려움에서 살았다고 합니다.

독살의 역사 속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했던 독은 바로 비소였는데요. 처음 비소를 분리한 사람은 13세기 중엽, 독일의 신학자이자 자연 철학자였던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였습니다. 비소가 독약에 사용된 데는 독성이 강하기도 했지만, 흔하게 구할 수 있고 사용하기도 쉬웠는데요. 비소는 이미 살충제나 쥐약, 심지어 화장품의 재료로 별다른 제제 없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었고, 무색무취의 단맛이 나는 분말로 설탕에 위장해 쉽게 섞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비상이라는 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독극물을 독살의 재료로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국정이 혼미했던 조선 후기에는 기미 상궁이 생겨나 왕이 식사하기 전에 음식을 먹고 독이 있는지 확인하거나 은수저를 음식에 넣어 독 검사를 했다고 하는데요. 음식물 속에 비상 성분이 있으면 비상 속의 황과 은수저가 반응해 표면이 검게 변하기 때문이었죠. 이 비상은 사약의 성분으로도 많이 사용됐습니다.

이 외에 부자나 천남성 같은 약재도 사약의 성분으로 많이 쓰였는데요. 부자는 투구꽃을 이용해 만드는데, 중국 당나라 때부터 대표적인 독약으로 꼽혔습니다. 부자 속 아코니틴이라는 성분은 심장정지, 호흡곤란, 운동신경마비, 내장출혈 등을 일으킵니다. 천남성 또한 맹독성 알칼로이드를 포함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놀랍게도 이런 맹독성 약물을 먹어도 금방 사망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약발이 좋지 않았다는 것이죠.

그러니까 사극 속에서 사약을 먹자마자 피를 토하며 죽는 건 조금 과장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조선 시대에서는 사약의 효능을 올리기 위해 여러 방법을 썼다고 하는데요. 단종은 사약을 받은 뒤 군불을 땐 온돌방에 30분이 넘게 누워있다가 서서히 죽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열에 열을 더해 약효를 강하게 하고, 약 기운이 더 빠르게 돌게 하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조선 시대에서는 여러 사람이 사약을 받고 쉽게 죽지 않아 고생했던 일도 있었습니다. 16세기 문인 임형수가 대표적인데요. 그는 조정을 비난한 이유로 43세의 나이에 사약을 받았는데, 사약을 탄 독주를 열여섯 잔이나 마시고도 멀쩡했다고 합니다. 결국, 스스로 목을 매 사망했다고 하네요.

현대에서 제일 잘 알려진 독약은 바로 청산가리가 있습니다. 정확한 이름은 시안화칼륨으로, 이름 때문에 파란색을 띠고 있을 거라는 오해를 받고 있지만, 실제 색깔은 흰색이고, 0.15g의 치사량으로 사망할 수 있는데요. 시안화칼륨이 체내로 들어오게 되면 산소운반 기능을 마비시켜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암호를 풀어낸 앨런튜링은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재판에 회부돼 여성호르몬 강제 투여 명령을 받았는데요. 이후 그는 시안화칼륨이 들어간 사과를 먹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지난 2014년,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에게 온 편지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되기도 했는데요. 바로 리신입니다.

리신은 피마자씨에서 추출되는 독성의 단백질인데요. 청산가리보다 1,000배나 독성이 강해 액체나 가루 형태로 복용하거나 흡입하면 몇 시간 내에 독감 증상을 보이다가 2~3일 이내에 폐와 간, 신장이 망가지면서 목숨을 잃게 됩니다. 리신이 우리 몸 세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단백질의 합성을 막아 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주로 테러리스트들이 이 리신을 자주 활용했다고 하는데요.

1978년 당시 공산국가였던 불가리아의 작가 게오르기 마르코프가 영국에서 암살당한 사건이 있었는데, 부검 결과 마르코프의 몸에서 지름 1.5nm 크기의 아주 작은 금속 알갱이가 발견됐습니다. 이 알갱이에는 엑스자 모양의 홈이 있었고, 이 홈 안에는 아주 적은 양의 리신이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예뻐지기 위해 맞는 보톡스 역시 주성분이 독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보톡스의 주성분인 보툴리눔 톡신은 밥 한 숟가락 정도의 양으로 천만 명 이상을 죽일 수 있고, 탄저균보다 10만 배나 독성이 강한데요. 하지만 신체에 치사량의 1,000분의 1 정도만 주입하자 신경세포의 활동이 적당히 억제되고 생명을 위협하지 않을 정도로 근육이 마비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이런 효과가 밝혀진 후부터 비정상적인 눈 근육 치료에 보톡스가 활용되기 시작했고, 이 외에도 근육 강직, 편두통, 파킨슨병 치료에도 사용됐습니다.

잘 쓰면 명약, 잘못 쓰면 독약이라는 말이 있듯이 보톡스처럼 독이 약으로 활용되는 경우도 꽤 있었는데요. 침묵의 살인자로 불렸던 비소 역시 20세기 매독 치료제로 활용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오늘 궁금한 S에서는 독에 관련된 과학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독성이 사람을 해할 수도 있지만,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인간을 돕는 치료제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정말 신기한 것 같네요. 그럼 궁금한 S는 여기서 인사드릴게요. 과학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면 언제든 유튜브에 사이언스 투데이를 검색해주세요. 이상 궁금한 S였습니다.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