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실효는 없고 불편은 넘치고...애물단지 ASF 울타리

2024년 03월 28일 오후 5:11
[앵커]
치사율 100%,

돼지에게 치명적인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치한 게 있습니다.

바이러스를 옮기는 야생 멧돼지 이동과 사람의 접근을 막는 철제 광역 울타리인데요.

주민 불편 호소와 함께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먼저 홍성욱 기자입니다.

[기자]
도로를 따라 설치된 철제 울타리.

지난 2019년부터 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주범인 야생 멧돼지 이동을 막겠다며 설치한 광역 울타리입니다.

높이 1.5m 기둥과 철조망을 둘렀는데, 전국에 설치된 길이가 1,800km가 넘고, 비용은 1,100억 원이 들었습니다.

문제가 있습니다.

편의상 대부분 도로를 따라 설치했다는 것.

곳곳이 끊겨 있거나 빈틈투성이입니다.

산책로를 따라 설치된 광역 울타리입니다.

울타리 바깥쪽은 강이 흐르고 있어 애초 멧돼지 이동이 쉽지 않은 곳입니다. 울타리 설치로 경관만 해친 꼴이 됐습니다.

하루아침에 마을 곳곳이 철제 울타리로 가로막힌 주민들은 벌써 2년 넘게 불편을 감수하고 있습니다.

곳곳이 구멍이라 얼마나 효과적일지 주민들은 반문합니다.

[광역 울타리 인근 주민 : 하다못해 마을 안길 이런 데 다 열려 있잖아요. 중간에만 막아 놓는다고 (멧돼지가) 안가나? 효율성이 없지.]

울타리를 치는 사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강원과 경기지역을 벗어나 경북과 충청으로 확산했습니다.

농장 감염도 잇따랐습니다.

강원과 경기, 인천, 경북지역 농장 40곳에서 13만 마리가 넘는 돼지가 매몰 처분됐습니다.

울타리 실효성 논란이 일면서 민원은 끊이지 않았고, 지난해 일부 자치단체는 철거를 건의했습니다.

하지만 환경부는 광역 울타리 설치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지연시켰다며, 철거는 아직 이르다는 입장입니다.

[환경부 관계자(음성변조) : (ASF 확산이)소강 상태라고 해서 울타리를 철거해버렸다가 만약에 재확산되면 다시 설치한다든가 다른 또 전략을 추가로 투입한다든가 하게 되면 그게 비효율이 될 수 있는 거잖아요.]

백신이 없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위기단계는 여전히 심각.

바이러스는 이미 퍼진 상황에서 주민 불편이 끊이지 않는 광역 울타리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YTN 홍성욱입니다.


촬영기자:박진우·홍도영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